“여성 건강 시리즈 3편) 자궁에 혹이 생겼다면? – 근종과 수술 이야기”

여성 건강 시리즈 3편) 자궁에 혹이 생겼다면? – 근종과 수술 이야기

“자궁에 혹이 있어요.”
처음 들었을 때 누구나 당황합니다.
가장 흔한 자궁근종을 중심으로, 치료와 수술에 대한 기본 지식을 알려드릴게요.

여성 건강 시리즈 3편) 자궁에 혹이 생겼다면? – 근종과 수술 이야기


 1) 자궁근종이란?

  • 자궁 근육층에 생기는 양성 종양

  • 대부분 암은 아니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름

자궁근종 종류별 위치 확인하기

> 자궁 벽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자궁근종(Uterine fibroid) 종류가 다름.

< 자궁근종의 종류별 설명 >

용어 설명
Intramural fibroid
(자궁근층내 근종)
자궁 근육층(myometrium) 안에 위치한 가장 흔한 형태. 크기에 따라 월경과다, 골반통, 자궁 확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요.
Subserosal fibroid
(장막하 근종)
자궁의 바깥쪽(serosa)으로 돌출된 근종. 자궁 바깥으로 자라기 때문에 압박 증상(방광, 직장 압박) 위주이며, 월경 이상은 비교적 적어요.
Submucosal fibroid
(점막하 근종)
자궁 내막(endometrium)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자궁강 안쪽으로 돌출됨. 월경과다, 부정출혈, 난임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Intracavitary fibroid
(자궁강내 근종)
자궁강 안에 거의 완전히 돌출된 형태의 점막하 근종. 심한 출혈, 생리통, 불임 등 증상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Pedunculated fibroid
(유경성 근종)
자궁의 바깥 또는 안쪽으로 자라면서, 가는 줄기(pedicle)로 연결되어 있는 근종. 외부에 달려 있는 경우 꼬임(염전)이 생기면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subserosal이나 submucosal 근종이 줄기를 가지면 유경성으로 분류됩니다.
자궁이 뭐야 알아보기 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자궁 이야기


참고) 자궁근육층(Myometrium)에 대해 알아보면,

"자궁 근육층(myometrium)은 자궁 벽의 중간층으로, 월경과 출산 시 자궁 수축을 담당하는 중요한 평활근 조직입니다."

    자궁근육층(Myometrium)에 대해 알아보면,

< 여성 생식기 주요 구조 설명 >

용어 설명
Infundibulum
(깔때기)
난관(fallopian tube)의 깔때기 모양 말단 부분으로, 난자가 난소에서 배출될 때 가장 먼저 도달하는 부분입니다.
Fallopian tube
(난관)
난자가 난소에서 자궁으로 이동하는 통로. 수정은 보통 이곳에서 일어납니다.
Fimbriae
(섬모)
난관 끝에 깃털처럼 퍼진 구조로, 배란 시 난자를 포획해 난관으로 유도합니다.
Ovary (난소) 난자를 생성하고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기관. 좌우 한 쌍 존재합니다.
Fundus
(자궁저부)
자궁의 가장 위쪽, 둥글고 넓은 부분으로 난관이 자궁에 연결되는 부위 근처에 위치합니다.
Uterus (자궁) 태아가 착상하고 성장하는 근육성 기관. 자궁내막, 근육층, 장막으로 이루어짐.
Endometrium
(자궁내막)
자궁 안쪽을 덮는 층으로, 월경 주기마다 두꺼워졌다가 탈락되며, 임신 시 수정란이 착상합니다.
Myometrium
(자궁근육층)
자궁벽 중간의 평활근 층으로, 월경과 출산 시 자궁 수축을 담당합니다.
Perimetrium
(자궁장막)
자궁의 가장 바깥층으로, 복막의 일부가 자궁을 덮고 있는 구조입니다.
Cervix
(자궁경부)
자궁의 아래쪽 부분으로 질과 연결되며, 자궁 입구 역할을 합니다. 분비물을 조절하고 출산 시 열립니다.
Vagina (질) 자궁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으로, 성교·월경혈 배출·출산 시 아기 통로 역할을 합니다.

자궁과 난소를 지지하는 인대

< 여성 생식기 자궁과 난소를 지지하는 인대 구조 정리 >

용어 설명
Ligament of ovary
(난소고유인대)
난소와 자궁을 직접 연결하는 짧은 인대. 자궁의 옆면(각부)과 난소를 연결함. 난소는 이 인대로 자궁에 부착되어 있어요.
Suspensory ligament of ovary (난소걸이인대) 난소와 골반벽을 연결하는 인대. 주요 혈관(난소동맥과 정맥), 신경, 림프관이 이 인대를 통해 지나감.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구조입니다.
Broad ligament of uterus (자궁넓은인대) 자궁, 난소, 난관을 감싸고 있는 넓은 복막 주름. 자궁을 골반 벽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3개의 부분으로 나뉩니다:
Mesovarium 난소를 덮고, 난소와 자궁넓은인대를 연결하며, 난소혈관과 신경이 통과하는 부위입니다.
Mesosalpinx 난관(fallopian tube)을 둘러싸는 부분. 난관과 관련된 구조들을 지지합니다.
Mesometrium 자궁 본체(body of uterus)를 지지하는 자궁넓은인대의 가장 큰 부분입니다. 주요 혈관, 신경 등이 이 안을 지납니다.
Round ligament of uterus (자궁원인대) 자궁의 각부에서 시작해 서혜관을 통과하여 대음순까지 연결되는 인대. 임신 중 자궁 위치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Uterosacral ligament
(자궁천골인대)
자궁 경부와 질을 뒤쪽의 천골(sacrum)과 연결하는 인대. 자궁을 뒤에서 지지하여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anteversion)를 유지합니다.

< 인대의 기능별 요약 >

기능 관련 인대
난소 지지 및 혈관 공급        난소고유인대, 난소걸이인대
자궁과 그 부속기 고정        자궁넓은인대 (meso- 시리즈)
자궁의 전방 경사 유지        자궁원인대
자궁을 후방에서 지지        자궁천골인대


📌 기억 포인트

  • 난소걸이인대: 혈관 통로!

  • 자궁넓은인대: 큰 덮개(복막 주름)

  • 자궁원인대: 서혜관 지나 대음순까지

  • 자궁천골인대: 자궁을 뒤에서 당겨줌



 2) 증상이 심할 때 나타나는 현상

  • 생리 과다, 심한 생리통

  • 하복부 압박감, 빈뇨, 피로감

  • 불임이나 임신 유지 어려움



3) 치료는 어떻게?

방법 설명
경과 관찰 작고 증상 없으면 주기적으로 체크
약물 치료        호르몬 조절로 증상 완화
수술 치료 근종 제거 or 자궁 적출 (근종 위치·크기에 따라 결정)

4) 복강경 수술이란?

  • 피부에 1cm 미만 절개 후 내시경으로 수술

  • 회복 빠르고 흉터 적음

  • 자궁 보존 or 자궁 전체 적출 모두 가능


참고) 아래 영상은 복강경 전체 자궁 적출술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에 대한 내용 !!
 


5) 마무리하며…  🎀

자궁근종은 무서운 병이 아닙니다.
빨리 알고 정확히 치료하면 건강하게 지낼 수 있어요.



📌 다음 편 예고
4편: “자궁적출 후, 몸은 어떻게 달라질까?”
자궁만 제거 vs 난소도 제거한 경우 변화 비교 이야기!

 자세히 확인하기 👈

여성 건강 시리즈 4편) 자궁적출 후, 몸은 어떻게 달라질까?



#자궁근종 #자궁수술 #복강경수술 #자궁적출 #여성건강정보 #근종증상 #산부인과상식 #자궁혹 #생리과다 #자궁질환치료



댓글 쓰기

다음 이전